섬유학

항균·방취 기능성 섬유의 기술과 응용

youniswkevin 2025. 7. 18. 15:25

운동복, 이너웨어, 양말, 마스크 등 일상에서 자주 착용하는 의류에는 항균 및 방취 기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 위생과 직결되며, 냄새 억제, 피부 보호, 세탁 횟수 감소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항균·방취 섬유의 작동 원리, 소재 기술, 주요 적용 분야, 소비자 선택 시 고려할 점 등을 정리합니다.


1. 항균·방취 기능의 원리와 필요성

항균 섬유는 섬유 표면에서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기능을 가집니다. 방취 기능은 세균 번식으로 인한 악취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 항균 기능: 99% 이상의 박테리아를 제거하거나 성장을 억제
  • 방취 기능: 땀 냄새, 발 냄새 등 세균 활동으로 인한 냄새 발생 방지
  • 생활 위생성 향상: 세탁 주기 감소, 감염 예방 효과 등

최근에는 코로나19 이후 항균 기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며, 관련 의류와 텍스타일 제품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항균·방취 기능성 섬유의 기술과 응용

 

2. 항균·방취 섬유의 소재와 기술

항균·방취 기능을 갖춘 섬유는 소재 자체에 항균제를 내포하거나, 가공 단계에서 표면 처리로 부여됩니다.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은(Ag) 이온 기반 항균제: 세포막 파괴를 통해 박테리아 사멸. 효과 지속성 우수
  • 아연(Zn), 구리(Cu): 항균성과 함께 항염,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음
  • 천연 항균제: 대나무 섬유, 키토산, 녹차 추출물 등 천연 유래 성분 활용
  • 마이크로캡슐 기술: 기능성 물질을 미세 캡슐화하여 지속 방출 가능
  • 복합사 개발: 항균성 소재를 섬유 원사 단계에서 혼합하여 가공하지 않아도 기능 발현

국내외에서 항균 테스트 기준(KS K 0693, JIS L 1902 등)이 정립되어 있어 성능 입증도 가능합니다.


3. 기능성 섬유의 활용 분야

항균·방취 섬유는 다양한 산업과 제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 운동복/이너웨어: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적용하여 냄새 억제
  • 양말/속옷: 장시간 착용해도 냄새나 위생 걱정이 적음
  • 침구류/커튼: 먼지 진드기 억제 및 생활 향균 효과
  • 의료용 섬유: 병원 가운, 침대보 등 교차 감염 예방 목적
  • 마스크 및 위생용품: 코로나19 이후 항균 기능성 강화

또한, 호텔, 병원, 항공사 등에서는 특수 기능성 섬유를 통한 위생 이미지 강화가 중요 마케팅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4. 소비자를 위한 섬유 선택 가이드

항균·방취 섬유 제품을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기능 지속성 확인: 세탁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는지 확인 (일부는 수회 세탁 후 기능 저하)
  • 안전성 인증: 피부 자극이 없는지,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없는지 확인
  • 항균 성능 인증 여부: ISO, JIS, 국내 KS 인증 제품 우선 고려
  • 천연 vs 합성 항균제: 피부 민감성에 따라 적합한 소재 선택
  • 환경 고려: 친환경 항균제 사용 여부, 재활용 가능한 소재 여부도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음

결론적으로, 항균·방취 기능성 섬유는 건강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위한 필수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기능성을 검토한다면,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의류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